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

영어로 논문쓰기 1. 서론에 자주 나타나는 표현

by 미이리 2022. 11. 1.
반응형
SMALL

생명과학쪽을 전공하다 보면 당연하게도 논문을 많이 읽게 된다. 대부분이 영어로 된 논문이고, 대부분 해외 저널에 논문을 투고하게 된다.  처음에는 영어로 쓰여진 논문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이러한 어려움도 6개월 정도 지나게되면 대충 어떻게 논문을 읽어야하는 지 감이 잡히게 된다. 하지만 막상 자신이 직접 영어로 논문을 작성해야 되는 때가 오면 어떤 표현을 써야할 지 막막할 때가 많다. 

 

 

사실 아직 나도 논문을 쓸 때 어떤 표현을 써야하고 어떻게 적어야할지 막막할 때가 정말 많다. 그래서 논문에 쓰이는 표현을 조금씩 정리해두려고 한다. 오늘은 서론에서 자주 나타나는 표현 몇 개를 정리하려한다. 해당 글은 김상현 교수님이 지은 "영어로 논문쓰기"를 보고, 공부하면서 실제로 내가 읽은 논문에서 자주 봤던 표현을 정리할 것이다. 그리고 해당 책에 적혀있는 표현 중 써보고 싶은 표현 또한 정리할 것이다.

 

  • 대두되다/ 나타나다

Remdesivir (GS-5734) has emerged as a promising direct antiviral therapy against SARSCoV-2, with potent activity demonstrated against several coronaviruses.

최근 코로나 관련 논문을 읽을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현 중 하나이다. 20년 초기 코로나관련 논문에는 이 has emerged 앞에는 pandemic, coronavirus 등이 가장 많이 들어가 있었다.

 

The present research question emerged from the question: "Did you experience feelings of being treated differently from others in either school/outside in America?"

흔히 논문의 서론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으로 '저자의 논문은 ~문제에서 비롯된다, 비롯된 것이다'란 것을 밝히고자 할 때 사용된다고 적혀있다. 

 

glimmered : emerge는 본격적으로 나타났다는 의미이지만 glimmer는 말 그대로 '명멸, 나타났다가는 이내 죽어가는' 이란 뜻으로 잠시 나타났지만 큰 영향이나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한 경우를 이야기한다.

 

has surfaced as a serious issue : surface는 표면으로 드라나다, 가시화되다, 나타나다 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즉, '~한 이슈가 공론화 되고, 논쟁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연구가 미비하다/ 자료가 거의 없다.

 However, the pathogenesis of SARS-CoV-2 infection and the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re still unknown.

생물학 관련 논문을 보다보면, 당연하게도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이 많기에 이와 같은 표현이 정말 많다. 특히 최근 코로나 관련 논문을 보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 ~~한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잘 모른다."와 같은 표현을 자주 볼 수 있다. 

 

There is no comprehensive monograph.

~을 다루고 있는 포괄적인(전체적으로 다룬) 단행본이 없다.

 

There is no studies of ~ in English, except for the ~

 

Little is known of the original copy of ~.

~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Nevertheless, there remains an unexplained aspect.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되지 않은 측면이 여전히 남아 있다.

 

 

  • 본 논문에서 우리는 ~할 것이다/ 살필 것이다 / 시도해 볼 생각이다.

대부분 이러한 표현은 introdiction 맨 마지막 문단에 나오게 된다. 서론에는 보통 내가 적을 주제에 대한 것들을 조금 설명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코로나와 담배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문이라면 서론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떤 바이러스인지, 폐에 어떤 질환들이 나오는지에 간단하게 설명을 하 것이다. 그리고 다음 문단에서는 담배는 폐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 요소중 하나이다 하면서 담배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게 된다. 서론 마지막 부분에서는 대부분 '이러한 것으로 인해 우리는 담배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폐질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런식으로 마무리가 될 것이다. 

 

'본 노문은 ~을 살필 것이다' 혹은 '점검할 것이다, 밝히고자 한다, 다루고자한다.' 와 같은 표현을 쓸 경우, 대부분 동사 examine, demonstrate, deal with, explore, present, describe, reveal, disclose, consider, offer, provide, argue, pursue, exhibit 등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때에 따라 treat, tackle, approach, take a look at을 사용하기도 한다.

 

We provide evidence from virus titers, viral antigen staining, viral transcripts in sc-RNA seq data sets, and the presence of continuous immune response to demonstrate persistent infection of airway epithelial cells by SARS-CoV-2 in vitro.

 

Additionally, we demonstrate that TMPRSS2 is the primary host protease used for SARS-CoV-2 entry across cell types in the upper airway.

 

대부분의 서론 마지막에는 Here,로 시작해서 어떤 것을 이야기하고자하는지 적혀있다. 책에는 많은 표현이 적혀있었지만 생물학 논문을 쓰는 데 사용되는 표현은 생각보다 많이 정리되어져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앞으로 영어 논문을 써야하는 분들이 있다면, 논문을 읽다가 괜찮은 표현이나 마음에 드는 표현이 있으면 따로 정리해두는것이 좋다고한다. 이것은 지금 내 스승이신 교수님께서 영어논문 쓰는 것에 대해 말해주실 때 알려준 것이다. 그런 표현들을 정리해두면 나중에 내가 영어논문을 쓸 때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한다. 

 


앞으로 내 블로그에 영어공부는 이런 논문을 쓰는데 필요한 표현들도 정리를 할 것이지만, 영어회화와 같은 것도 정리를 할 예정이다. 

 

반응형
LIST

댓글